전체 22건 페이지 2/2
-
한국공업화학회_우수논문상 수상(2022년 5월 12일)고분자재료실험실에서 한국공업화학회에 발표한 논문이 우수 포스터 발표 논문으로 선정되었으니.. 모두 축하해주기 바랍니다. 발표자 : 이종인(대학원생), 김수연, 양세준, 이승원 지도교수 : 남병욱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2.05.30 조회수 655
-
코리아텍 배진우 교수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기술 개발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배진우 교수(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가 참여한 연구진이 미래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구현의 핵심기술을 개발했다. 스트레처블(Stretchable)은 유리나 실리콘 등 딱딱한 물질에서만 구현되던 기존의 디스플레이와 달리, 휘어질 뿐만 아니라 신축이 가능한 다양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배진우 교수와 연구진은 기존에 스트레처블 디바이스에 주로 활용되던 하이드로젤 소재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PVC, DBA, [EMIM+][TFSI-]로 구성하여 전도도를 높인 이온젤을 제작하고 이를 인장 센서로 활용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이온젤을 투명장갑에 붙이고 아두이노와 연결해서 이를 알파벳 입력장치와 마우스 컨트롤러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이번에 새롭게 개발된 이온젤은 기존 하이드로젤 또는다른 유기 전도성 젤에 비해 주위 온습도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장시간 그 모양과 형태를 유지하는게 장점이다. 이러한 안정적인 특성 때문에 스트레쳐블 센서, 스트레처블 터치패널, 인공피부의 소재와 같은 차세대 스트레처블 디바이스의 프로토타입 제작에 활용이 가능하다. 연구결과는 ‘내습성, 탄성, 투명성의 이온젤을 이용한 고신축성 변위센서(Humidity-resistive, elastic, transparent ion gel and its use in a wearable, strain-sensing device)’라는 제목으로 재료과학분야의 권위 있는 저널인 ‘Journal of Materials and Chemistry A’(Impact Factor 10.733, 상위 10% 이내 논문) 온라인 판에 지난 2월 27일 게재됐다. 해당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배진우 교수는 제1저자로 참여했다. 배진우 교수는 “본 이온젤의 합성방법은 스트레쳐블 소재합성의 원천기술로서 다른 연구자들에게 차세대 스트레쳐블 소재 제작에 대한 영감을 심어주고 이온젤의 고분자나 분산매, 이온용액을 다른 더 좋은 재료로 치환한다면 더욱더 활용가치가 높은 스트레처블 소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충청일보 외 15개의 신문에 게제되었다. 충청일보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6974 뉴스파고 http://www.newspago.com/sub_read.html?uid=89148 충청신문 http://www.dailycc.net/news/articleView.html?idxno=585119 로컬투데이 http://www.localtoday.co.kr/sub_read.html?uid=169495 디트뉴스24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573918 내외뉴스통신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8479 브릿작성자 한동헌 등록일 2020.03.30 조회수 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