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51건 페이지 1/3
-
한국기술교육대, 과기부·교육부 연구지원사업 13과제 선정...14억 확보과기부 '개인기초연구사업' 및 교육부 '이공학술연구기반구축' 사업 선정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경(충청남도 천안시 소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KOREATECH·총장 유길상)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와 교육부(한국연구재단)가 추진하는 ‘2025년도 하반기 개인기초연구과제(4과제), 이공학술연구기반구축(9과제)’에 최종 선정돼 총 14억 2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과기부 개인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은 창의적·도전적 기초연구를 지원해 우수 연구자와 과학기술 미래역량을 육성하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으로 연구자의 창의적 기초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연구를 심화·발전시키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추진된다. 선정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연구자는 총 4명으로, 각 1억 8천만 원의 연구비를 3년간 지원받아 핵심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김종팔 교수는 △신경 재생 모니터링을 위한 임플란터블 임피던스 측정 회로 개발 과제로 선정됐고,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장재영 교수는 △퇴행성뇌질환(파킨슨병) 치료법 개발을 위한 자기장-침 기반의 뇌 전용 전자약 플랫폼 원천기술 개발을 수행한다.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최강선 교수는 △고인쇄문화유산의 정밀 분석을 위한 구조 기반 문자 유사도 측정 및 인공지능 분류 기술 개발 과제를 연구하며,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김석준 교수는 △초고에너지 밀도 이차전지 구현을 위한 하이브리드 음극 개발 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또 비수도권 대학 연구자 중심으로 지역발전 및 혁신의 기반이 되는 기초연구를 지원하는 교육부 글로컬R&D 지원사업에도 교양학부 박정태 교수가 선정돼 약 3년간 4억 2천만 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됐다. 추가로 8명의 박사과정생이 교육부의 이공학술연구기반구축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에 선정돼, 과제별로 1~2년간 총 2억 6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자들은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컴퓨터공학부, 디자인건축공학부 대학원 소속으로 신소재·IoT·바이오·빅데이터·VR·건축공학 등 신진 연구를 창의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유길상 총장은 “이번 성과는 우리 대학의 연구 역량과 연구자들의 헌신적인 노력, 학생들의 열정이 함께 만들어낸 결실로서 큰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연구 성과 창출을 통해 지역사회와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대학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9.17 조회수 18
-
한국기술교육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학생들,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9.17 조회수 38
-
자작자동차동아리 ‘자.연.인’ㅣKSAE 대학생 자작자동차 대회 Baja 부문 종합 우승! 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9.11 조회수 99
-
한국기술교육대, ‘로보게임즈 홍콩’ 물류자동화 부문서 ‘금·은·동’ 모두 땄다 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8.19 조회수 275
-
한국기술교육대 '박진형 교수'·한국기계연구원 공동 연구팀 '옷이 에너지를 만들고 신호를 감지한다.'한국기술교육대 '박진형 교수'·한국기계연구원 권순근 책임연구원 공동 연구팀 '고성능 섬유형 에너지 소자' 개발... 스마트 재활치료 센서, 음성 진단 센서 등 활용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박진형교수(왼쪽), 한국기계연구원 나노리소그래피연구센터 권순근 책임연구원(중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타파스 박사(오른쪽)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박진형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고성능 섬유형 에너지 소자는 면과 같은 일상의 옷에 전사(transfer)할 수 있으며, 기존 TNEG 에너지 소자보다 190% 높은 출력 전력을 가진다.(위쪽) 레이저 유도 그래핀(LIG)을 면 섬유에 전사하여 유연하고 고효율적인 에너지 소자를 제작한다.(아래쪽) 일상의 옷감이 '움직이는 발전기'가 되다... 몸의 신호까지 읽는 스마트 섬유 기술 우리대학 (KOREATECH) 메카트로닉스공학부 박진형 교수 연구팀이 한국기계연구원 권순근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협력하여 섬유 기반 고효율 나노에너지 발전기(Triboelectric Nanogenerator, 이하 TENG) 개발에 성공, 세계적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F 13.4) 최신호(2025년 5월 온라인 게재)에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논문 제목은 Transfer of laser induced graphene onto the surface of cotton fabric: An efficient electrode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이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진형 교수(교신저자)와 타파스 박사(박사후 연구원, 제1저자), 한국기계연구원 권순근 책임연구원(공동 교신저자)가 연구를 주도했다. 본 연구는 기존 금속 전극(알루미늄)에 비해 160% 높은 전압, 150% 높은 전류, 190% 높은 출력 전력을 기록하는 CLIG-TENG(면/LIG 기반 TENG)를 구현한 성과로, 레이저 유도 그래핀(LIG)을 면 섬유에 성공적으로 전사(transfer)하여 유연하고 고효율적인 에너지 소자를 제작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LIG가 PI(polyimide) 기판 등 제한된 소재에만 직접 제작 가능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면 섬유에 고결정성 LIG 전극을 열전사(thermal printing) 방식으로 구현하여 웨어러블 헬스케어 센서 및 친환경 에너지 수확 기술로의 확장 가능성을 열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진형 교수 연구팀과 박사후 연구원인 타파스 박사, 한국기계연구원 권순근 책임연구원 연구팀 간의 긴밀한 공동 연구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협력 체계를 통해 산학연 융합 연구의 모범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후속 기술 개발 및 사업화 가능성도 모색 중이다. 이번에 개발된 CLIG-TENG 소자는 손목, 무릎, 허벅지, 후두 등의 미세한 생체 신호를 고감도로 감지할 수 있는 성능을 보였으며, 스마트 재활치료 센서, 음성 진단 센서, 차세대 웨어러블 전자기기용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6.20 조회수 497
-
류길하교수님, 임경화교수님 정년퇴임2025년 6월 18일, 류길하, 임경화 교수님과의 정년퇴임 축하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동안 후학 양성에 수고해주신 교수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메카 교직원 단체사진: 임경화 교수님(왼쪽), 성상만 학부장(중앙), 류길하 교수님(오른쪽)] [꽃을 들고 계신 류길하 교수님(왼쪽), 성상만 학부장(중앙), 안채헌교수님], [꽃을 들고 계신 임경화 교수님(왼쪽), 안채헌교수님 ]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6.19 조회수 107
-
한국기술교육대 학생들 물류로봇 경진대회 과기정통부장관상 수상‘코리아텍배’란 팀으로 출전한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정현욱(4학년)·이강현(3학년)·김호영(3학년) 학생은 ‘분류 물류로봇’ 종목에서 1위를 차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학생들이 '2025 WCRC(World Creative Robot Contest) 물류로봇 경진대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602507030?OutUrl=naver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6.05 조회수 641
-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우성혁, ‘전국 대학생 IEEE 퀴즈대회’ 1위메카트로닉스공학부 4학년 우성혁(27)씨가 29일 ‘제12회 전국 대학생 IEEE 퀴즈대회’에서 영예의 1위를 차지하고 200만 원의 상금을 받았다. 이 대회는 세계 최대 전기·전자공학 기술 단체인 국제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가 후원하고 KITIS 산학연정보㈜가 주관했다. 이번 대회에는 고려대, 중앙대, 한국외대, 부산대 등 전국 70여 개 대학 학부생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벌였다. IEEE는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술 표준을 제정하고, 국제 학술지를 발간하는 권위있는 세계적 학술 기관이다.출처 : 충청뉴스(http://www.ccnnews.co.kr) https://www.cc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3160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5.30 조회수 525
-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선정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선정되었고 메카트로닉스공학부는 인공지능과 물리적시스템 결합 분야 참여하고있습니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1141400063?input=1195m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5.22 조회수 391
-
[유튜브] 공대생이 말하는 메카트로닉스공학부! 학과 소개부터 신입생 꿀팁까지 다 알려주는 메카 브이로그학과의 숨은 장점, 실제 학생들의 리얼 인터뷰, 그리고 랩실 탐방까지! 💬 신입생에게 꼭 필요한 선배들의 한마디도 놓치지 마세요!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2.13 조회수 886
-
한기대, 전국 최상위권 취업률(80.%) ‘명문 요람’전국 평균보다 15.5% 높은 취업률과 대기업과 공기업 등 취업의 질 탁월최근 급변하는 국내외 등 글로벌 경제위기속에 천안에 위치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전국 최상권 취업률이 새롭게 조명되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기대는 대학 알리미 공시기준 취업률 80.1%로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 4년제 일반대학의 취업률 평균(64.6%)보다 15.5%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한기대 취업률 특성으로 우선 우수 기업의 취업률이 돋보인다. 2023년 졸업생의 기업유형별 취업 현황은 대기업(22.1%), 중견기업(24.5%), 중소기업(31.1%), 국가/공기업/공공기관(12.0%), 비영리법인(10.0%), 기타(0.3%) 등이다.전국 우수 취업처라 할 수 있는 대기업·중견기업과 국가, 공기업 및 공공기관 취업률은 58.6%로 전국 4년제 대학 평균 34.7% 보다 23.9%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유지취업률은 88.4%로 전국 4년제 대학 평균 78.9% 대비 9.5%가 높아 한기대 졸업생들은 안정적인 취업처에서 취업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학부(과)별로는 메카트로닉스공학부가 84.4%로 가장 높은 취업률을 보였으며, 디자인건축공학부(81.9%),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81.7%), 전기전자통신공학부(80.3%), 기계공학부(79.2%), 산업경영학부(76.9%), 컴퓨터공학부(73.0%)가 뒤를 이었다. 계약학과인 일학습병행대학도 83.3%의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기업체 초임 급여에서는 전체 취업자의 53.1%가 300만원 이상의 월 급여를 받아 전체 대학 평균인 38.3%에 비해 14.8% 높게 기록, 안정적으로 기업 취업활동을 펼치고 있다는 평가다.특히, 3~4학년 때 교과과정의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장기간(4~10개월) 이수하는 장기현장실습(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참여자 취업률은 84.2%로 미참여자 76.7%보다 7.5% 더 높게 분석돼 장기현장실습제가 학생의 취업역량을 향상시키는 점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유길상 총장은 “한기대가 매년 최상위권 취업률을 수성하는 원동력은 이론과 실험·실습의 5:5 커리큘럼, 실무경력 3년 이상의 현장경험이 풍부한 교수 채용, 졸업연구작품제작 의무화 등 차별화된 공학교육모델을 통해 전공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강조했다.유 총장은 그러면서 “무한경쟁의 시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교육혁신과 함께 졸업생과 재학생간 유기적인 교류를 통해 취업역량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2.13 조회수 1381
-
2024학년도 STOB리그 (반도체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 박성빈, 이용채, 임현채, 김보인(이병렬 교수)[교육부/KIAT주최] 2024년 반도체 경진대회(STOB리그) 지난 12월 26~27일,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부산 벡스코에서 2024 반도체 경진대회(STOB 리그)를 개최. 전국 24개 반도체 특성화 대학 132개 팀이 참가했으며, 결선에는 20개 팀이 진출해 반도체 아이디어를 제시. 반도체 경진대회는 반도체 분야 문제 해결형 팀 프로젝트 경연으로 구성, 참가 팀들이 반도체 공정, 소재·부품·장비, 설계 등 다양한 주제의 창의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 한국기술교육대학교 APEX팀(박성빈, 이용채, 임현채, 김보인)은 Wafer Edge defect을 Multi-layer Focus ring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최우수상 수상. (지도교수 : 이병렬 교수)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2.03 조회수 1643
-
2024학년도 대학원 우수연구실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 ASD Lab(박진형 교수)메카트로닉스공학부 ASD Lab(Advanced Soft Device 연구실)이 본교 대학원의 연구성과 공유 및 연구분위기 확산을 위해 실시한 '2024학년도 대학원 우수연구실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2.03 조회수 501
-
한국기술교육대 '김병기 교수' 연구팀 '배터리 없는 자가 충전 전략시스템 개발' 성공한국기술교육대 '김병기 교수' 연구팀 '배터리 없는 자가 충전 전략시스템 개발’ 성공! 제주대 목영선 교수 연구팀과 공동.... "소형 전자제품 배터리 없이 사용 가능”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병기 교수(왼쪽), 라구 박사(오른쪽) 한국기술교육대(KOREATECH)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김병기 교수(사진) 연구팀(라구 연구교수(사진))이 제주대 목영선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웨어러블 압전 나노발전기와 비대칭 슈퍼커패시터의 통합을 통해 배터리가 없는 새로운 자가 충전 전력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재생 에너지를 이용해 자가 전력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새로운 압전 복합재료를 설계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로 있다. 김 교수 연구팀은 희토류 금속인 터븀 텅스텐을 2D 물질인 황화몰리브덴에 삽입(TbW@MoS2)한 복합재를 이용하여 자가 충전 전력 시스템의 두축인 압전 발전 소자로서의 역할 및 수퍼커패시터의 음극재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했다. 손가락 탭핑에 의해 압전 발전기에서 발전되는 전압은 2.81V로 순수한 이황화몰리브덴의 경우보다 약 4.2배 더 좋은 결과를 얻었고, 전력밀도는 종래의 보고된 결과보다 1.5배 가량 높은 7.3 μW/m2를 구현하였다. TbW@MoS2를 음극재로 사용한 슈퍼커패시터는 이황화몰리브덴 및 순수 터븀 텅스텐 각각의 용량보다 더 높은 용량인 62.6 mAh/cm2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TbW@MoS2를 음극재로 사용한 슈퍼커패시터는 이황화몰리브덴 및 순수 터븀 텅스텐 각각의 용량보다 더 높은 용량인 62.6 mAh/cm2을 보여주었다. 이들을 통합한 자가 충전 전력 시스템에 대한 시험 결과, 4분 이내에 1.6 V까지 자체 충전하고 그후 3시간 15분 동안 57 mV까지 매우 천천히 자체 방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이용해 소형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실용성을 입증했다. ▲ 압전 발전기와 슈퍼캐퍼시터를 결합한 자가 충전 시스템 개념도 김병기 교수는 “소형 전자기기를 외부 전력의 도움없이 압전형 나노발전기를 이용해 전압을 발생시키고 이를 수퍼캐퍼시터를 통해 작동시키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보여준 연구로 앞으로 전자 제품 구동을 위한 그린 에너지의 생성과 공급에 대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사업과 중점연구소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 Advanced Composites and Hybrid Materials에 게재됐다. (논문명: “One-stone-two-birds”: engineering a 2D layered heterojunction of terbium tungstate incorporated on molybdenum disulfide nanosheets for a battery-free self-charging power system via the integration of a wearable piezo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5.01.06 조회수 634
-
이인석 교수님 정년퇴임2024년 12월 4일, 이인석 교수님과의 정년퇴임 축하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동안 후학 양성에 수고해주신 교수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꽃을 들고 계신 교수님: 이인석 교수님(중앙)]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12.06 조회수 63
-
한기대, 한국지식경영학회 공모전 대상·우수상 차지한국기술교육대, ‘2024 한국지식경영학회 대학(원)생 아이디어 공모전’서 대상, 우수상 ‘BCSD’팀 “생성형 AI 커리어 브랜딩”...융합학과 이호 교수 지도교수상 ▲ ‘2024 한국지식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학(원)생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BCSD팀(우측 5명)과 우수상을 수상한 대나무숲팀(좌측 5명) 한국기술교육대(총장 유길상) 학생들이 11월 20일(수)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그랜드 볼룸에서 열린 ‘2024 한국지식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학(원)생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과 우수상을 수상했다. (사)한국지식경영학회, (사)한국정보시스템감사통제협회, 연세대 정보대학원, 바른ICT연구소, 개인정보보호 혁신인재양성사업단 등이 공동 주최한 이번 대회는 AI 시대에 따른 창의적 문제해결과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해 개최되었다. 전국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참가한 이번 공모전에서는 서류 심사를 통과한 11개 팀이 발표 평가를 통해 수상자가 선정됐다. 한국기술교육대 ‘BCSD’팀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플랫폼(링크드인, 깃허브, 노션 등)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를 기반으로 커리어 브랜딩 및 직무 역량 정리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안해 대상을 수상했다. 특히, 개인 맞춤형 직업 추천과 부족한 역량 분석,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심사위원과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대나무숲’팀은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의 센서 데이터에 대화형 AI 기술(LLM)을 결합하여 정신질환의 위험성을 조기에 탐지하고 치료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안해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는 정신질환으로 인한 이상동기 범죄(일명 묻지마 범죄) 예방과 더불어 국내 자살률을 낮추는 데 국내 최고 수준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두 팀 모두를 지도한 융합학과 이호 교수는 학생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과 발전을 지도한 공로로 지도교수상을 수상해 눈길을 끌었다. BCSD팀의 대표 임성묵 학생(메카트로닉스공학부 19학번)은 “저희를 지도해 주신 이호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동아리의 데이터 분석팀, 프로덕트 매니징팀, 개발팀 모두의 노력이 좋은 결실을 맺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기술교육대 학생들의 이번 수상은 AI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학문적,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11.25 조회수 782
-
대한기계학회 충청지회 & 한국기계연구원 DX전략연구단 2024년 공동학술대회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 기계공학 AI/DX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대상, 최우수상 및 장려상 수상 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11.21 조회수 814
-
한국기술교육대 ‘DSC공유대학 모빌리티 메이커톤 경진대회’ 대상한국기술교육대 ‘DSC공유대학 모빌리티 메이커톤 경진대회’ 대상 ‘가제트’팀 ‘물품 흔들림 최소화 메커니즘 배달로봇’..“요철과 연석도 무리없이” ▲ 한국기술교육대 가제트팀 학생들이 11월 19일(화) 충남대학교에서 열린 ‘2024년 DSC공유대학 모빌리티 메이커톤 경진대회’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한국기술교육대(총장 유길상) 로봇 연구동아리 ‘가제트’팀 학생들이 11월 19일(화) 충남대학교에서 열린 ‘2024년 DSC공유대학 모빌리티 메이커톤 경진대회’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DSC(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대학교육혁신본부가 주관한 이번 경진대회는 기존 이동 수단(자율주행차, 로봇, 드론 등)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을 내용으로 진행됐다. 이번 대회는 DSC 공유대학 모빌리티 Fab-Lab 페스티벌과 연계해 진행되었으며 우수 작품은 상설 전시장에 전시되어 작품의 혁신성을 널리 알렸다. 서류심사를 통해 선발된 DSC 지역혁신플랫폼 참여대학 재학생 10개 팀은 2회의 멘토링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했으며 10월에 진행된 발표평가에서 프로토타입을 완성해 심사를 거쳐 수상작이 선정되었다. 한기대 가제트팀은 ‘물품 흔들림 최소화 메커니즘을 적용한 배달 로봇’을 출품해 대상을 수상했다. 이 로봇은 요철과 연석 같은 장애물이 많은 도심 환경에서도 가감속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며 물품을 안전하게 배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에어 펌프와 가상 회전 중심 메커니즘을 적용해 배달 중 물품의 흔들림이나 충격을 최소화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팀 대표인 문서정 학생(메카트로닉스공학부 21학번)은 “팀원들과 함께 만든 로봇이 실용성을 인정받아 매우 보람되며, 앞으로도 로봇을 통해 사람들의 삶을 더욱 편리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싶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WEBZINE 中(2024.11.20)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11.21 조회수 644
-
이종욱 교수, '전기차 화재 예방 안전 정책' 포럼 참석11월 1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서울 코엑스에서 '전기차 화재 예방 안전 정책' 포럼을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최근 전기자동차 화재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전기자동차 수요 둔화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 업계, 학계가 한자리에 모여 전기자동차 화재 특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화재 예방 대책들이 논의 되었다. 본 포럼에 우리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이종욱 교수님이 참석하여 전기자동차 화재의 주요 원인과 예방 기술에 대한 주제로 강연과 토론회에 참석 하였다. 이종욱 교수님은 앞으로도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안전성과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며 더불어 우리 메카트로닉스공학부 학생들이 이차전지와 전기자동차 배터리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관련 기사) "열폭주 전 골든타임 살려야"…KAMA 전기차 화재예방 포럼(뉴스1) 한국자동차안전학회, 페달오조작 및 전기차 화재 예방 관련 심도있는 논의(글로벌오토뉴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11.14 조회수 717
-
한기대 ‘WCRC 물류로봇Ⅱ 대학일반부 경진대회‘ 휩쓸어한기대 ‘WCRC 물류로봇Ⅱ 대학일반부 경진대회‘ 휩쓸어 - 11/9(토) 본선서 과기부장관상(금상)과 은상, 동상 석권, “내년 미국 대회 출전” ▲한국기술교육대 메카트로닉스공학부학생들이 11월 9일(토) 한국로봇교육콘텐츠협회 주관으로 열린 ‘2024 WCRC 물류로봇Ⅱ 대학일반부 경진대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금상)과 특허청장상(은상), 국가기술표준원장상(동상)을 휩쓸었다. ▲‘2024 WCRC 물류로봇Ⅱ 대학일반부 경진대회’장면 한국기술교육대(총장 유길상) 메카트로닉스공학부 학생들이 11월 9일(토) 열린 ‘2024 WCRC 물류로봇Ⅱ 대학일반부 경진대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금상)과 특허청장상(은상), 국가기술표준원장상(동상)을 모두 휩쓸었다. 한국로봇교육콘텐츠협회 주관으로 한국기술교육대 담헌실학관 담헌홀에서 열린 이날 대회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 한국공학대, 동아대, 경기과학기술대, 연성대 등에서 참여한 80여 명의 대학생들은 3인 이하로 팀을 이뤄, 본선 경기를 치뤘다. 경기 방식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메카넘휠 탑재의 모바일플랫폼인 물류로봇이 픽시 카메라를 활용해 물류의 색상, 순서, 분류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목적지에 알맞게 매니퓰레이터와 2핑거 그리퍼를 사용하여 배열하는 미션을 수행하는 대회다. 참가 팀들은 오전과 오후 2회에 걸쳐 미션을 수행해 점수를 합산, 순위를 매겼다. 금상은 길현서·김예진·이세연 학생(한기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3학년)들로 구성된 ‘티미룸’팀이, 은상은 김윤기·김현수·이형서 학생(한기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2학년)들로 구성된 ‘나야 메카팀’, 동상은 박상혁·서동욱·서희찬 학생(한기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2학년)으로 구성된 ‘로보로보’팀이 차지했다. 길현서 학생(3학년)은 “중간고사 시험기간과 대회 준비기간이 겹쳐 도전의 연속이었다”면서 “물류 환경에서는 로봇 물체 위치와 각도를 신속히 인식하고 처리하는 능력이 필수여서 많은 공을 들였고,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성능을 위해 테스트와 수정 작업을 반복했다. 팀의 단합과 집중력이 금상의 원동력”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그는 “내년 4월 실리콘밸리로 불리우는 미국 산호세에서 열릴 국제로봇경진대회인 ‘Robogames’의 동일 종목에 출전할 때는 부족한 점을 보완해서 값진 성과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은상 수상팀의 김윤기 학생은 “대회 전에 학교에서 진행된 물류 로봇 교육 프로그램이 큰 힘이 되었고, 이번 대회를 통해 물류 로봇 분야에 대한 많은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해준 대학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유길상 총장은 “구글, 아마존, DHL,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11.12 조회수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