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41건 페이지 2/3
-
가제트(GADGET)팀 19기(이상준, 김현식, 이성린, 임석균),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지능로봇 부문 1위시연영상 시상식 가제트(GADGET)팀 19기(이상준, 김현식, 이성린, 임석균)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지능로봇 부문 1위 ▲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가제트(GADGET)팀 학생들이 ‘2024 제24회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지능로봇 부문’에서 영예의 1위(경상북도지사상)를 차지하고 1,000만 원의 상금을 받았다. 우리 학부의 가제트(GADGET)팀 19기(이상준, 김현식, 이성린, 임석균)이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지능로봇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거뒀다. 가제트(GADGET)팀 학생들은 지난 9월 6~8일 경상북도•포항시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이 주관해서 포항시에서 열린 ‘2024 제24회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지능로봇 부문’에서 ‘미확인 물체 수거 로봇’으로 출전해 영예의 1위(경상북도지사상)를 차지하고 상금 1,000만 원을 받았다. ▲ 로봇 전체 외관 이 로봇은 열화상 카메라와 방사능 측정 모듈과 그리퍼(물건을 집는 부분)를 장착하고 있으며, 접이식 다리 구조로 설계돼 장애물을 쉽게 극복할 수 있다. 다리와 매니퓰레이터(인간 팔과 유사한 동작을 제공하는 기계 장치) 일체형 구조라는 점도 특징이다. 또한 조인트 맵핑을 통한 마스터 장치로 조작자가 직관적으로 로봇을 작동할 수 있으며, 조작 보조 프로그램을 통해 편의성을 제공한다. ▲ 마스터 장치 이상준 팀장은 "1년 반의 긴 시간 동안 열심히 준비한 로봇이 큰 대회에서 인정받고 좋은 성과를 얻게 되어 굉장히 기쁘다."면서 "로봇을 만들기 위해 집에도 잘 가지 못하고 열정을 함께 한 4학년 김현식, 이성린, 임석균 세 팀원과 질문이 있을 때마다 한 걸음에 달려와 성심껏 답변해 주신 천병식 지도교수님,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교수님들께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9.13 조회수 594
-
최수진 신임교수 초빙최수진 박사님께서 2024년 9월부로 우리 학부 신임교원으로 임용되셨습니다.제어시스템 전공으로 배정되셨고, 주로 우주 모빌리티의 경로 생성 및 제어분야를 연구하셨습니다.최수진 교수님! 축하드리고 환영합니다. ▲ 최수진 교수님(오른쪽에서 세 번째) [최수진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교수] “학생들과 로켓, 자율 이동체 설계 해나갈 것” 좋은 대학을 넘어 위대한 대학을 꿈꾸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 임용되어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어 너무나 감격스럽고 감사한 마음입니다. 박사과정까지의 과정 그리고 오랜 기간 연구원으로 근무를 하면서 "공학"이라는 분야가 우리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학생들과 함께 이야기하며, 인류에게 필요한 무언가를 공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앞으로 함께 만들 것이라 상상을 해보니 벌써부터 너무 즐겁습니다.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빠르게 팽창하는 우주라는 관점에서 먼지보다 작은 지구라는 곳에서 사는 우리가 과학기술 또는 공학이라는 학문을 통해서 인류가 궁금해하는 먼 우주를 탐험하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을 개발하면서 공학에 대한 철학적 사고, 학문의 과정과 필요성 그리고 세상에 없는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기술적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 얼마나 절실하게 중요한지 학생들과 함께 나누면서 즐겁게 생활해 보고 싶습니다. 뉴 스페이스의 출현이 급진적으로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메카트로닉스공학부에서 학생들과 함께 로켓 경연대회에 출전해 보고 싶고, 자율 이동체를 설계하고 제어하는 과정을 통해 공학은 이론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존이라는 것을 함께 경험해 가고 싶습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WEBZINE 中(2024.09.09.) [인터뷰] 2024학년도 하반기 신임 교원 6인의 당찬 포부와 열정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9.12 조회수 899
-
박순용, 홍장환, 정동민, 정희준 학생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논문 게재우리 학부의 박순용, 홍장환, 정희준, 정동민 학생이 대한기계학회 논문집에 제출한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관절형 단일 무한궤도 로봇을 최초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해당 로봇의 기구학적 모델을 수립하고 역기구학을 푼 동시에, 최적 기동 제어 알고리즘 또한 제안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정보:◎ 저자: 박순용, 홍장환, 정동민, 정희준, 김홍근◎ 제목: 관절형 단일 무한궤도 로봇의 설계: 기구학적 모델과 최적 기동 알고리즘◎ 논문지: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C-기술과 교육(KCI) ◎ 권호: 제12권, 제2호, pp. 81-94◎ 게재일: 2024.09.01. ◎ URL: http://journal-c.ksme.or.kr/작성자 김홍근 등록일 2024.09.11 조회수 530
-
09학번 정길언 동문 국립한밭대 기계공학과 교수 임용우리 학부 정길언 동문(09학번)이 올해 9월 1일 자로 각각 국립한밭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축하드리고, 인재 양성을 위하여 불철주야로 헌신해주시는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가족 구성원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아래는 정길언 동문의 교내 인터뷰를 대표 발췌한 것입니다. [동문인터뷰] 국립한밭대 기계공학부 정길언 교수(메카트로닉스공학부 09학번) “졸업생과 재학생간 교류, 소통 활성화 되길” 한국기술교육대(KOREATECH) 홍보팀에서는 대한민국 최고의 공학교육 및 HRD(인적자원개발) 특성화 대학이자 평생 직업 능력개발 허브 대학인 한국기술교육대의 대내외적 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우수 졸업 동문 인터뷰를 시리즈로 진행합니다. 학계, 공공(연구)기관, 기업체, 벤처기업, 직업훈련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우수 졸업 동문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기술교육대의 과거와 현재의 경쟁력, 미래의 발전 방향을 대학 구성원 및 외부 고객들과 함께 공감하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기계공학 전공자로서 자동차라는 기계공학의 집합체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해 보고 싶은 열망이 컸었죠. 민동균 교수님이 지도하는 자작 자동차 동아리 ‘스타덤’에서 6개월간 자동차를 제작하며 공학의 원리를 경험하고 2012년 대학생 창작 전기자동차 경진대회에서 조향 및 제동안전부문 1위를 했던 기억이 여전히 새록새록 합니다.” 9월 1일 자로 국립한밭대 기계공학부 교수로 임용된 정길언씨(메카트로닉스공학부 09학번)는 “자동차를 만들면서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경험은 연구자로서, 공학도로서의 성장에 큰 힘이 됐다”고 회고한다. 대학 4학년 때는 당시 교내 대학교육개발센터 교수님과 ‘코넬식 노트필기법’강의를 진행한 경험도 기억에 남는다고, “학부 수업을 듣고 시험을 보면서 실천했던 학습방법과 노트 활용법을 공유하는 것이었는데, 조금이나마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을 돕는 좋은 경험이었을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하는 교수가 되고 싶다는 꿈을 더욱 구체화하게 됐습니다.” ‘1등을 해보고 싶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 정씨는 학부생 시절 매 학기 성적 장학금을 놓치지 않았고, 졸업할 때는 전체 수석으로 노동부장관상을 수상한 ‘수재’였다. “이러한 성취는 학업에 대한 자신감과 더불어 미래에 대한 목표를 더욱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정 교수는 한기대 졸업 후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진학했다. 재료 역학과 동역학에 관심을 갖고 있던 그는 고체역학과 최적 설계 연구에 매진했다. “학부시절에 배운 ‘실사구시’ 정신을 마음에 새기며 학술적이면서도 실용적 연구를 위해 노력한 결과, 유한 요소 해석을 현업에서 사용할 때 문제가 되는 불일치 격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연구로 5년 만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9.10 조회수 703
-
07학번 황준식 동문 경상국립대 기계공학부 교수 임용우리 학부 황준식 동문(07학번)이 올해 9월 1일 자로 각각 경상국립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축하드리고, 인재 양성을 위하여 불철주야로 헌신해주시는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가족 구성원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아래는 황준식 동문의 교내 인터뷰를 대표 발췌한 것입니다. [동문인터뷰] 경상국립대 기계공학부 황준식 교수(메카트로닉스공학부 07학번) “한기대는 최우수 연구 중심대학에도 뒤지지 않는 경쟁력 보유” 한국기술교육대(KOREATECH) 홍보팀에서는 대한민국 최고의 공학교육 및 HRD(인적자원개발) 특성화 대학이자 평생 직업 능력개발 허브 대학인 한국기술교육대의 대내외적 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우수 졸업 동문 인터뷰를 시리즈로 진행합니다. 학계, 공공(연구)기관, 기업체, 벤처기업, 직업훈련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우수 졸업 동문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기술교육대의 과거와 현재의 경쟁력, 미래의 발전 방향을 대학 구성원 및 외부 고객들과 함께 공감하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최종 합격 발표가 났을 때, 오랜 꿈이었던 교수가 된 점에 행복했습니다. 대학원 진학을 추천해 주시고 이끌어주셨던 이상순 교수님, 그리고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던 학부 시절이 많이 생각났습니다. 이상순 교수님께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올해 9월 1일 자로 경상국립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로 임용된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출신 황준식 동문의 소감이다. 황 교수는 학부 졸업 후 카이스트 대학원에 진학, 2014년부터 레이저 패터닝을 수행하고 활용하는 연구에 몰입했다. 이후 석박사 통합 과정에 뛰어들어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를 통한 나노 스케일 패터닝을 수행한 끝에, 2019년 8월 금속 나노구조를 제작해 바이오센서로 활용하는 연구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 취득 후 충남대 사범대 기계재료 공학교육학과에서 1년간 초빙교수로 근무하고, 다시 1년간 카이스트 기계공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연구 실적을 차곡차곡 쌓아갔다. 이후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마스크 개발팀에 입사해 2년 반가량 양산 품질 및 전자빔 리소그래피 공정 개발 업무를 하다가, 이번에 ‘교수 임용’의 꿈을 마침내 실현했다. 황 교수는 산업경영학부로 입학했다가, 2학년 때 메카트로닉스공학과로 전과했다고 한다. “군 제대 후 복학했는데, 아는 사람도 없고 강의 내용도 벅차서 늦게까지 남아서 실습하던 때가 떠오릅니다. 나름대로 열심히 해서 수업도 따라가고 실습도 이해가 되면서 성취감을 느끼고 ‘나도 할 수 있구나’ 라는 생각으로 학업에 더 열중했습니다.” 황 교수는 “전과 당시 취업이 가장 잘 되고 인기 있는 학과 중 하나가 메카트로닉스공학부였는데, 기계와 전자를 같이 배움에 따라 다양한 기술을 접목해 보며 시야를 넓힐 수 있어 좋았다”면서 “랩 생활을 하며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점도 사회성을 기르는 특장점이 있었다”고 회고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9.10 조회수 626
-
진경복 교수 24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선정, 104억 확보우리 학부 진경복 교수님께서 산업통상자원부의 '2024년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연구기반 고도화)' 사업 수주하셨습니다.축하드립니다. 한국기술교육대 24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선정, 104억 확보 ‘융복합 소재·부품·장비 연구기반 고도화’, 진경복 교수 “대한민국 대표 장비센터 도약” ▲ 사업총괄책임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진경복 교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총장 유길상)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공모한 ‘2024년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연구기반 고도화)’ 에 선정돼 향후 3년간 104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받게 됐다. 이 사업은 연구시설과 장비 운영 실적이 우수한 연구기반 센터를 대상으로 한 정부지원 사업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3대 주력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고, 유망 기술 지원을 통해 산업 가치사슬과 공급망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사업 총괄 책임자인 진경복 교수(메카트로닉스공학부)는 “이 사업은 미래 선도형 차세대 융복합 소재·부품·장비의 시험·평가·인증 연구기반을 고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공용장비센터가 주관해 3년간 총 사업비 104억 원(정부지원 70억 원, 기관부담금 34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관련 산업의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진경복 교수는 “참여 교수진과 직원들의 열정과 헌신 덕분에, 한 대의 장비로 시작한 센터가 이제는 대학 및 지역을 대표하는 장비센터로 성장했다”면서 “이번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굴지의 장비센터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국기술교육대 공용장비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기술표준원이 운영하는 한국인정기구(KOLAS.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로부터 10년 연속 연속 국제공인시험기관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 충남의 34개 국제공인시험기관 중 대학 소속 기관으로는 유일하다. 공용장비센터는 약 150여 종, 총 207억 원 규모의 연구장비를 구축, 전국 기업을 대상으로 양질의 분석 서비스와 기술지도 등을 통해 기술 및 제품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2020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소재·부품·장비 국가연구시설 및 안전관리 우수연구실로도 지정됐으며, 지난해 12월에는 산업기술진흥원의 우수연구기반센터(연구기반 통합관리 부문)으로 선정됐다.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서비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공용장비센터(041-580-4880)로 문의하면 된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WEBZINE(2024.09.02.)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9.10 조회수 269
-
한기대생 "모듈형 마찰대전 발전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다공성 나노복합체 활용" 우수논문상 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9.03 조회수 308
-
한기대생 '딥러닝 기반 화재 진압 솔류션' 최우수상 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7.17 조회수 420
-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김병기 교수 연구팀 “고속 응답 유연 압전 전력 소자 개발 성공”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병기 교수(좌)와 라구 박사(우) 우리 대학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김병기 교수 연구팀이 아연 텅스텐 나노 입자를 산화아연 육각형 마이크로 디스크(h-MD)에 결합시킨 새로운 복합재(ZnO-ZnWO4@PDMS)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한 유연한 압전 나노 발전기(FPENG)를 개발했다. 개발된 FPENG 시스템은 "주의" 라인으로 표시된 실험실 환경에서 실시간 적용을 통해 시연되고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는 ‘Zinc tungstate integrated onto zinc oxide h-MDs-based flexible piezoelectric power device: A new energy technology for real-time indoor laboratory safety warning system’이라는 논문명으로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4년 7월호에 게재됐다.(해당 링크: https://doi.org/10.1016/j.cej.2024.151889) 또한, 김병기 교수 연구팀은 재생에너지 연구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중앙대 황병일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대한 리뷰논문을 ‘Dye-sensitized solar cells: Insights and research divergence towards alternatives’라는 제목으로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24년 7월호에 게재했다. (해당 링크: https://doi.org/10.1016/j.rser.2024.114549) 두 연구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교육부의 '대학중점연구소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FPENG 시스템 응용 개요도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7.01 조회수 152
-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견학을 다녀왔습니다.우리 메카트로닉스공학부는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견학을 다녀왔습니다. - 견학 일정: 2024년 6월 11일 - 견학 장소: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 견학 내용 우리 메카트로닉스공학부의 2학년 과목인 기계공작법(이종욱 교수님 담당) 수업에서 현대자동차 아산 공장으로 견학을 다녀왔습니다. 기계공작법 과목에서는 제품의 성형 및 가공에 대한 전문 지식과 더불어 공정 계획, 품질관리 등의 제품 제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배우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수업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선도 기업 중 하나인 현대자동차 아산 공장을 방문하여 실제 제조 공정을 경험하며 그동안 배웠던 전공 지식이 적용되고 활용되는 과정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수업을 이수한 학생들로 하여금 제조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고 자동차 산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6.12 조회수 1504
-
김광선 명예교수 「김광선 기술패권전쟁」 유튜브 채널 운영우리 학부 명예교수인 김광선 교수님께서 「김광선 기술패권전쟁」이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계십니다. (관련 링크: https://www.youtube.com/@ks_techwar) 해당 채널은 디지털시대, 과학기술이 경제, 사회, 국제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과 이해를 위한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기술변화가 어떻게 세계의 패권구조를 재편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할 도전과 기회는 무엇인지 탐구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다양하고 흥미로운 영상을 제작하여 올리고 있습니다. 공학과 과학기술, 이와 관련한 세계 정세에 관심이 있는 분께서 시청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양한 영상 중에서 LK-99 상온 초전도체에 대한 영상을 대표로 소개합니다. 김광선 명예교수님을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명예교수로 추대된 이후의 약력을 간단히 소개해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명예교수 • 한국 화재폭발조사협회 회장 • 신아시아산학협력기구 이사장 • 미국 기계학회(ASME) fellow 등작성자 김홍근 등록일 2024.04.02 조회수 723
-
「대학생활과비전」 졸업생 선배가 알려주는 대학생활 꿀팁2024년 3월 20일, 미래학습관 4층 SKY홀에서 "졸업생 선배가 알려주는 대학생활 꿀팁"이라는 주제로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김도영, 성기욱, 구세연 졸업생이 강의에 참여하였습니다. 후배들에게 좋은 정보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3.20 조회수 617
-
2024학년도 학부 MT2024년 3월 15일(금)~17일(일), 2박 3일간 2024학년도 메카트로닉스공학부 MT를 진행하였습니다. 새로운 신입생들과의 첫 만남의 장. 이번 해에는 명예교수님들께서 함께 참여해주셔서 더 즐겁고 뜻깊은 시간이 되었습니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4.03.17 조회수 800
-
학부 소개 영상우리 학부 소개 유튜브 영상(약 30분)입니다. 우리 학부 및 메카트로닉스공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제작되었습니다. 천병식 교수님을 비롯하여 졸업생 및 재학생 등이 수고해주셨습니다. [유튜브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MWRZ5XGB0zQ&t=30s]작성자 김홍근 등록일 2024.03.11 조회수 567
-
권오형 신임교수 초빙권오형 박사님께서 2024년 3월부로 우리 학부 신임교원으로 임용되셨습니다. 디지털시스템 전공으로 배정되셨고, 주로 반도체 공정 장비 및 플라즈마 분야를 연구하고 계십니다. 권오형 교수님! 축하드리고 환영합니다. [왼쪽 사진: 권오형 교수님(오른쪽에서 네 번째)작성자 김홍근 등록일 2024.02.29 조회수 1788
-
학부 홈페이지 renewal!많은 분들의 노고 덕분에 우리 학부 홈페이지가 개편되었습니다. 홈페이지 개편에 수고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개편된 홈페이지의 일부 서비스는 로그인(홈페이지 화면 우측 상단)하셔야 이용 가능합니다. 홈페이지 로그인은 본인의 아우누리 계정 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면 됩니다.작성자 김홍근 등록일 2024.02.29 조회수 791
-
김주형 기술연구원 명예퇴직2023년 8월 31일, 메카트로닉스공학부에서 재직 중이던 김주형 기술연구원 선생님께서 명예퇴직하였습니다. 그 동안 학부를 위해 힘쓰고 애써주신 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3.08.31 조회수 394
-
허용정 교수님 정년퇴임2023년 6월 21일, 허용정 교수님과의 정년퇴임 축하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동안 후학 양성에 수고해주신 교수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꽃을 들고 계신 교수님: 허용정 교수님(오른쪽)]작성자 알리미 등록일 2023.06.21 조회수 546
-
원윤재, 이상순 교수님 정년퇴임2022년 12월 20일, 원윤재 교수님과 이상순 교수님의 정년퇴임 축하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동안 후학 양성에 수고해주신 두 분 교수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꽃을 들고 계신 두 분 교수님: 원윤재 교수님(왼쪽), 이상순 교수님(오른쪽)]작성자 한애리 등록일 2022.12.22 조회수 1201
-
최만성, 김문기 교수님 정년퇴임2022년 6월 13일, 최만성교수님과 김문기 교수님께서 정년퇴임하셨습니다. 그동안 후학 양성에 수고해주신 두 분 교수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왼쪽 사진: 김문기 교수님(왼쪽), 최만성 교수님(가운데)]작성자 한애리 등록일 2022.07.06 조회수 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