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대학원 우수연구실 경진대회(대학원의 밤)'서 최우수상 2곳, 우수 3곳 선정
- 작성자이예은
- 등록일2023.12.26
- 조회수566
우리 대학 대학원은 지난 12월 6일(수) '2023학년도 대학원 우수연구실 경진대회(대학원의 밤)'에서 최우수상 2곳과 우수상 3곳을 선정, 발표했다.
대학원은 논문, 학술발표, 특허, 과제수주, 전일제 학생수 등 정량평가와 발표력, 랩실 주요성과, 수상실적, 랩실의 학문적/산업적 기여, 연구실 구성원 협력, 졸업생 취업 질적 수준 등 정성평가를 기준으로 삼았다.
최우수상은 노대석 교수(전기공학 전공)가 이끄는 '그린 에너지 연구실'과 배진우 교수(화학생명공학)가 이끄는 '다기능 유기고분자 실험실'이 차지했고, 우수상은 박진형 교수(메카트로닉스공학부)의 'ASD LAB', 김상연 교수(컴퓨터공학부)의 'Interaction LAB', 김덕수 교수(컴퓨터공학부)의 'HPC LAB'에게 각각 돌아갔다.
대학원 우수연구실 경진대회는 대학원생들의 연구실적 독려 및 성과공유, 대학 내 연구 분위기 확산, 우수연구실 홍보를 위해 2014년부터 매년 진행되고 있다.
그린 에너지 연구실은 그린에너지전원(태양광, 풍력, 2차 전지 등)은 배전계통 연계특성에 대한 해석 및 운용에 관한 연구와 스마트그리드(Smart Grid)dp 관한 연구를 수행한 연구실이다. 연구생들은 한국전력공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서부발전,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철도공사, 삼성SDI 등 유수의 공공연구기관과 대기업에 취업했으며, 현재 26명의 연구인력이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1년간 121편의 학술발표 활동을 비롯해 특허출원 및 등록은 10건, 우수 논문상 등 수상실적 17건의 왕성한 성과를 거두었다. 노대석 교수는 2001년부터 현재까지 23년간 100여명의 석/박사 학생을 지도했다.
다기능 유기고분자 연구실은 '고분자로 세상을 스마트하게 만드는 연구실'을 지향한다. 다기능 유기고분자(Multi-x-function Organic Polymer)는 스마트폰(디스플레이 기판), 운동장 트랙(우레탄 고분자), 침대 메트리스(라텍스 합성수지), 음식 포장재(PVC 고분자) 등 일상생활뿐 아니라 반도체 포토공정, 수소전기차, 스마트윈도우, 로봇카케라, 전자피부 등 첨단산업에서 활발하게 사용된다. 최근 1년간 6건의 연구과제 수행과 국내외 7건의 학술논문 발표, 특허 16건, 학술대회 6건의 실적을 기록했다.
ASD(Advanced Soft Device) Lab 지도교수인 박진형 교수 연구팀은 올해 8월 '저주파 기계적 자극을 통해 구동되는 마찰 전기 기반 필름형 소프트 로봇(Triboelectric-Based Film-Type Soft Robot Driven via Low-Frequency Mechanical Stimuli)' 연구논문이 올해 한국정밀공학회가 발간하는 기계소재 분야 국제저명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Green Technology(IJPEM-GT)' 7월호 '편집장 우수논문'으로 선정됐다. 연구실 학부연구생인 기계공학부 4학년 박현서 학생은 8월 한국정밀공학회가 발간하는 기계소재 분야 국제저명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Green Technology(IJPEM-GT)' 에 제1저자로 '다중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미세먼지 포집용 마찰대전 발전기(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Collecting Particulate Matter Using Multiple Energy Sources)' 연구논문을 게재했다.
김상연 교수의 Interaction LAB은 가상현실에서의 몰입감 증대를 위한 신물질 기반 햅틱 엑추에이터와 센서 개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박사과정 3명과 석사과정 5명이 활동 중이다. LAB 출신 졸업생들은 금오공대교수를 비롯해, 삼성전자, LG 전자, 한국전력, 현대캐피털 등에 진출했다. 최근 5년간 11편의 SCI급 논문이 실렸고 73억원의 연구비, 109건의 특허, 2억원의 기술이전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김덕수 교수의 HPC(Heterogenous Parallel, High Performance computing) Lab은 홀로그램/3D비전/딥러닝/자율주행을 위한 고성능 컴퓨팅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2023년 DSC 공유대학 자율주행 해커톤 우수상, R- Biz 배달의 민족 자율주행 챌린지 수상을 비롯해 6건의 특허 출원, 4건의 과제 수주, SCI 논문 게제 등의 성과를 기록했다.
이광주 대학원장은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훌륭한 연구 역량을 발휘해 대학원의 명성을 드높이는 모든 연구실 교수님과 연구원생들에게 감사드린다"면서 "우리 대학 대학원의 역사와 전통을 더욱 발전시켜 나갈 모든 분들의 보다 큰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
2023 대학원의 밤.jpg (613KB / 다운로드:41) 다운로드 미리보기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홍보TF팀
- 연락처 041-560-1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