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ㆍ창업


에너지신소재공학전공
현장실무 능력을 갖추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으로 혁신을 주도하는 스마트 신소재 엔지니어를 양성합니다.

유형별 취업 현황
현재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철강, 금속, 화학산업, 전자산업에서부터 향후 큰 발전이 기대되는 생명공학, 에너지 관련 산업까지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관련 산업이 확대일로에 있어서 졸업생들에 대한 사회에서의 수요는 나날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학부(과) | 23년 1월 고등교육기관 취업통계조사 결과(취업처는 대학 자체조사) | ||||||||
---|---|---|---|---|---|---|---|---|---|
취업률 | 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국가 및 지자체 | 공공기관 및 공기업 | 비영리법인 | 기타 | 합계 | |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 79.1% | 8 | 12 | 3 | 1 | 1 | 3 | 3 | 31 |
에너지신소재공학전공 졸업생 취업률 분포도